데이터 문해력
빅데이터 시대, 성과를 이끌어 내는
목차
- 앞으로 필요한 건 데이터 문해력: 분석보다 활용
- 올바른 데이터로 올바른 문제를 풀고 있는가?
- ‘이것이 문제다’ 데이터로 말하는 방법
- 결과가 나왔다고 끝난 것은 아니다
- 기법에 집착하지 마라
- ‘결론은 이것이다’ 정보를 요약하라
- ‘데이터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착각
- 개인과 조직의 데이터 활용 능력을 높이는 방법
요약
- 데이터 분석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결과가 목적을 잘 반영하고 있는지는 데이터의 양과 분석 방법에 좌우되지 않는다
- 데이터 분석이란 눈앞의 데이터로부터 어떤 패턴을 추출하는 것이 아니다
- ‘데이터를 통해’판독’한 정보는 아무리 훌륭한 데이터 사이언스를 구사하더라도 시사점(인사이트)이라고 할 수 없다
- ‘데이터 분석 방법’과 ‘데이터 분석을 활용하는 방법’은 전혀 다른 개념이다
- 목적이 애매하면 그것이 자 풀릴지는 운에 의지하게 된다. 애당초 잘 풀리고 있는지 어떤지조차 평가할 수 없겠지만
- ‘분석’도 ‘데이터’도 어디까지나 수단이고 도구일 뿐, 답을 제시해주지 않는다
- ‘데이터 분석을 통해 성과를 낸다’는 것은 ‘나무로 가구를 만든다’에 비유된다. 좋은 목재(데이터)가 있고 못을 박는 실력(분석 방법과 통계 지식)이 뛰어나더라도, 어떤 가구를 어떻게 만들지 자신이 모른다면 가구를 완성할 수 없다
생각
- 비교의 기술: 목적에 따라 ‘값의 크기’ ‘추이’ ‘편차’ ‘비율’ 등 4가지 평가 기준을 이용해 데이터의 특징을 포착한다.
- 결과 = XX와 YY는 차이가 있습니다. // 결론 = XX와 YY의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은, ZZ라는 의미입니다.
💡
데이터 활용 프로세스
A | (겉으로 드러난 현상) | |
목적 및 문제 정의 | B | 목적 및 문제를 정의 |
C | 지표를 결정 | |
현상 파악 및 평가 | D | 현재 상태를 파악 |
E | 평가 | |
원인 | F | 원인을 분석 |
방법 | G | 해결 방안을 모색 |
데이터를 통한 원인 분석에서 중요한 것은 원인과 결과의 ‘연결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