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이터 문해력

분류경제/경영
별점★ ★ ★ ★☆
상태
완독
저자카시와기 요시키
진행률1
총 페이지240
표지https://contents.kyobobook.co.kr/sih/fit-in/458x0/pdt/9788965402916.jpg
한 문장💬“당신이 무엇을 알고 싶은지, 이를 알게 되면 무엇을 하고 싶은지, 이를 위해서는 어떤 데이터(지표)가 필요한지”, 💬“대체 ‘구체적’으로 인구 문제의 어떤 부분을 알고 싶은가요? 어떤 종류의 인구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나요?”, 💬“나는 문제를 명확하게 정의해 풀고 있는가? 둘 이상의 해석이 나오지 않도록, 구체적으로 표현하고 정의하였는가?”, 💬“데이터를 보다 전략적으로 의사 결정이나 문제 해결 등에 활용한다고 할 때, 그런 식으로 하면 전혀 소용이 없습니다. 언제나 경쟁 원리에 따라 움직여야 하는 기업과 마찬가지로, 매년 인구가 감소하고 재정이 열악해지는 지자체에 필요한 것은 사실이나 결과 공개뿐만 아니라 시민이 합리적으로 납득할 수 있는 판단과 의사결정을 하기 위한 재료입니다.”, 💬“실적과 결과 표시만 하고 끝낸 것은 아닌지, 이 결과를 통해 구체적인 판단이나 행동으로 연결될 것인지, 문제와 결과에 대한 원인을 충분히 고려했는지”, 💬“풍부한 창의성으로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생각해낸다는 의미와 논리적으로 꾸준히 사물이나 현상의 원리를 추구한다는 의미에서 ‘생각한다’입니다. ‘생각의 종류가 다르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데이터를 무기로 합리적으로 논할 수 있는 능력”
현재 페이지240
빅데이터 시대, 성과를 이끌어 내는

목차

  1. 앞으로 필요한 건 데이터 문해력: 분석보다 활용
  1. 올바른 데이터로 올바른 문제를 풀고 있는가?

    목적 사고력: 목적에 맞게 문제와 데이터를 연결하기\footnotesize\bf\color{skyblue}\colorbox{ffffff}{목적 사고력: 목적에 맞게 문제와 데이터를 연결하기}
  1. ‘이것이 문제다’ 데이터로 말하는 방법

    현상 파악  평가력: 문제를 표현하는 \footnotesize\bf\color{skyblue}\colorbox{ffffff}{현상 파악 및 평가력: 문제를 표현하는 힘}
  1. 결과가 나왔다고 끝난 것은 아니다

    원인 파악 능력: 행동으로 이어지는 \footnotesize\bf\color{skyblue}\colorbox{ffffff}{원인 파악 능력: 행동으로 이어지는 힘}
  1. 기법에 집착하지 마라

    전체 구성력: 스토리(논리)를 만드는 \footnotesize\bf\color{skyblue}\colorbox{ffffff}{전체 구성력: 스토리(논리)를 만드는 힘}
  1. ‘결론은 이것이다’ 정보를 요약하라

    정보 집약력: 정보를 수집하고 결론을 이끌어내는 \footnotesize\bf\color{skyblue}\colorbox{ffffff}{정보 집약력: 정보를 수집하고 결론을 이끌어내는 힘}
  1. ‘데이터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착각

    시야확대력: 데이터로부터 시야를 넓히는 \footnotesize\bf\color{skyblue}\colorbox{ffffff}{시야확대력: 데이터로부터 시야를 넓히는 힘}
  1. 개인과 조직의 데이터 활용 능력을 높이는 방법

    실행력: 문해력을 실현하는 \footnotesize\bf\color{skyblue}\colorbox{ffffff}{실행력: 문해력을 실현하는 힘}

요약

  • 데이터 분석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결과가 목적을 잘 반영하고 있는지는 데이터의 양과 분석 방법에 좌우되지 않는다
  • 데이터 분석이란 눈앞의 데이터로부터 어떤 패턴을 추출하는 것이 아니다
  • ‘데이터를 통해’판독’한 정보는 아무리 훌륭한 데이터 사이언스를 구사하더라도 시사점(인사이트)이라고 할 수 없다
  • ‘데이터 분석 방법’과 ‘데이터 분석을 활용하는 방법’은 전혀 다른 개념이다
  • 목적이 애매하면 그것이 자 풀릴지는 운에 의지하게 된다. 애당초 잘 풀리고 있는지 어떤지조차 평가할 수 없겠지만
  • ‘분석’도 ‘데이터’도 어디까지나 수단이고 도구일 뿐, 답을 제시해주지 않는다
  • ‘데이터 분석을 통해 성과를 낸다’는 것은 ‘나무로 가구를 만든다’에 비유된다. 좋은 목재(데이터)가 있고 못을 박는 실력(분석 방법과 통계 지식)이 뛰어나더라도, 어떤 가구를 어떻게 만들지 자신이 모른다면 가구를 완성할 수 없다

생각

  1. 비교의 기술: 목적에 따라 ‘값의 크기’ ‘추이’ ‘편차’ ‘비율’ 등 4가지 평가 기준을 이용해 데이터의 특징을 포착한다.
  1. 결과 = XX와 YY는 차이가 있습니다. // 결론 = XX와 YY의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은, ZZ라는 의미입니다.

💡

데이터 활용 프로세스

A(겉으로 드러난 현상)
목적 및 문제 정의B목적 및 문제를 정의
C지표를 결정
현상 파악 및 평가D현재 상태를 파악
E평가
원인F원인을 분석
방법G해결 방안을 모색

이미지 설명

데이터를 통한 원인 분석에서 중요한 것은 원인과 결과의 ‘연결성’

이미지 설명

이미지 설명
사분면으로 나눠 각각의 특징을 찾다

이미지 설명
아쉬운 결과가 나오는 것은 데이터 활용이나 분석 내용에 문제가 있어서가 아니라, 적절한 사고 과정을 밟지 않았기 때문입니다.